[스크랩] 사진용어해설
사진용어해설 |
----- ㄱ -----
유용광(AVAILABLE LIGHT)
- 원래부터 사진을 촬영하는 장소에 있는 빛으로, 상대적으로 어두운 빛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.
가변성 콘트라스트 인화지(VARIABLE CONTRAST PAPER)
- 필터를 사용하여 확대하는 광원의 색을 변화 시킴으로서 다양한 등급의 콘트라스트를 만들어내는 인화지. (무호지)
가색법(ADDITIVE COLOR)
- 3원색(빨강, 초록, 파랑)의 빛을 혼합하여 색을 만들어내는 방법. 각각의 3원색은 스펙트럼 파장의 1/3을 차지한다. 빛의 3원색을 여러비율로 섞어 모든파장의 혼합인 백색을 포함한 모든색의 빛을 만들 수 있다.
가이드넘버(GUIDE NUMBER)
- 특정한 플래시를 피사체에서 플래시까지의 임의의 거리에서 사용할 때 사용하는 필름의 주어진
감도(ASA)에 맞는 적정노출의 f-치(렌즈구경)를 계산하는데 쓰이는 숫자. 가이드 숫자를 거리로
나누면 f-치가 나온다.(일반적으로 피트로 산출됨)
감광유제(EMULSION)
- 필름이나 인화지에쓰이는 감광도료. 젤라틴 속에 임시 정지된 화학약품과 할로겐화은 결정체로
이루어져 있다.
감도(SPEED)
- 1) 필름이나 인화지의 빛에대한 상대적인 민감도.
2) 조리개를 더 크게 열어서 더 많은 빛이 들어오게하는 렌즈의 상대적인 능력.
감력(REDUCTION)
- 현상된 이미지의 검은 은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법.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보통 네가티브를 감력 시킨다. 특히 하이라이트 부분을 밝게 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(특정한 부분에만) 인화를 감력한다.
감력제(REDUCING AGENT)
- 현상제 속의 활성요소. 이것은 노광된 할로겐화은 결정체를 검은 금속은으로 변화시킨다.
현상제라고도 함.
감색법(SUBTRACTIVE COLOR)
- 다양한 비율의 기본감색-시안, 마젠타, 노랑-염료를 섞어서 색을 만들어내는 방법. 각 염료는 백색 광에서 자신의 색을 뺀 나머지색의 광선을 만들어 낸다.
그리고 빛의 모든 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는 검정색을 만들어 낸다.
고무인화법(GUM-BICHROMATE PROCESS)
- 현대 사진가들에 의해 부활된 초기의 사진 처리법. 유제는 색소를 포함한 감광된 고무 용액이다. 인화도중에 손으로 표면을 변화 시킬 수 있다.
계수(FACTOR)
- 빛의 손실을 (예를 들어 필터의 사용에 의한) 보충하기 위해서 몇배로 노출이 증가되어야 하는가 를 알려주는 숫자.
고감도 혹은 고속도(FAST)
- 1) 빛에 매우 민감한 필름이나 인화지
2) 매우 큰 렌즈구경으로 열린렌즈.
3) 짧은 셔터속도 (반대 : 저감도 혹은 저속도)
고농도(DENSE)
- 네가티브나 포지티브의 한 부분에 많은 양의 은이 침전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용어. 고농도의 네가티브는 상대적으로 빛을 거의 통과시키지 않는다.
- 1 -
과초점거리(HYPERFOCAL DISTANCE)
- 무한대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카메라에서 가장가까운 피사계 심도면(초점이 맞는 가장 가까운
물체)까지의 거리. 또 무한대가 피사계 심도의 가장 먼 면일 때 카메라에서 가장 초점이 잘 맞기 시작하는 면까지의 거리. 초점을 과초점거리에 맞추면 피사계 심도는 과초점거리 절반 지점에서
부터 무한대까지 연장된다.
관용도(LATITUDE)
- 이미지의 질이 아주 떨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노출과다 혹은 노출 부족의 정도.
광각의왜곡(WIDE-ANGLE DISTORTION)
- 광각렌즈로 피사체에 접근하여 촬영할 때 생기는 원근감의 변화. 피사체가 늘어나 보이거나 원래 위치보다 더 멀리 떨어져 보인다.
광선의차단(LIGHT-TIGHT)
- 빛이 통과할 수 없도록 물체를 이용하거나, 판을 여러개 겹쳐서 혹은 그외의 방법으로 빛을 차단 하여 완벽한 어두움을 만들어 내는 것. 광택인화(FERROTYPE)
- 일반적으로 가열된 금속통이나 건조기의 부드러운 금속판에 유제를 눌러 인화를 건조시킴으로서 광택 인화지를 더욱 광택이 나게 하는 것.
광택지(GLOSSY)
- 표면이 매우 반짝 거리는 인화지. (반대 : 매트지)
교환주머니(CHANGING BAG)
- 빛이 차단된 주머니로 암실을 쓸 수 없을 경우에 사진가가 손을 넣어 필름을 처리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있다. 속칭 暗BAG 또는 DARK BAG이라고도 한다.
구면수차(SPHERICAL ABERRATION)
- 렌즈의 가장자리에 떨어진(비친) 광선이 중심에 떨어진 광선보다 더 많이 굴절 되는 렌즈의 결점.
망상(網狀)효과(RETICULATION)
- 필름의 처리도중의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생길수 있는 필름에 있는 젤라틴 유제에 주름이
지는 것.
기본색(PRIMARY COLORS)
- 혼합하여 다른 모든 색을 만들어 낼수 있는 기본적인 색.
----- ㄴ -----
나비조명(BUTTERFLY L GHTING)
- 인물사진에 쓰이는 조명으로 주광원을 얼굴앞에 곧바로 높게 놓는 것을 말함.
냉광확대기(COLD LIGHTING)
- 광원으로 텅스텐 전구 대신에 형광 튜브를 쓰는 산광식 확대기.
넓은조명(BROAD LIGHTING)
- 인물 사진에 쓰이는 조명으로 주광원의 빛이 거의 카메라로 향한 얼굴 면을 비추게 된다.
네가티브(NEGATIVE)
- 1)피사체와 반대의 톤인 이미지. (반대: 포지티브)
2)노출중인 카메라에 들어 있는 필름이나 네가티브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현상될 필름.
네가티브필름(NEGATIVE FILM)
- 노출하여 현상하며 네가티브 이미지를 만드는 필름.
노출(노광)(EXPOSURE)
- 1)감광 재료에 빚이 닿게 하는 것.
2)감광재료에 도달한 빛의 양. 특별히 감광재료 위에 쪼여지는 시간의 길이에 의해 증가하는
빛의 강도.
- 2 -
노출계(EXPOSURE METER)
- 피사체에 비춰지는(입사광) 빛의 양 또는 피사체에 의해 방출되거나 반사되는 (반사광) 빛의 양을 측정하는 기기. 계산된 조리개와 셔터속도 세팅을 알려준다.
노출과다(OVEREXPOSE)
- 필름이나 인화지에 너무 많은 노출을 준 상태. 은 농도가 너무 짙어져서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.
노출부족(UNDEREXPOSE)
- 필름이나 인화지에 거의 노출이 안된 상태. 따라서 은 농도가 낮아 바람직한 결과를 내지 못한다.
노칭코드(NOTCHING CODE)
- 필름의 종류와 그 필름의 유제면을 어둠속에서 구별할수 있도록 낱장 필름의 가장자리에 V자 형 으로 절단해 만든 기호.
농도(DENSITY)
- 노광이나 현상후에 필름과 인화지의 각 부분에 침전된 은의 상대적인 양. 즉 사진 인화에 있어
어두운 정도나 네가티브와 슬라이드의 빛을 막는 능력을 말함.
농도계(DENSITO METER)
- 네가티브나 인화의 어두운 정도나 농도를 측정하는기구.
----- ㄷ -----
다게레오타입(DAGUERREOTYPE)
- 다게레오에 의해 발명되고 1839년에 그에 의해 설명되었던 최초의 실용적인 사진 처리방법.
이것은 옥화은으로 도장된 금속판 위에 수은 증기를 쬐어 포지티브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.
단초점렌즈(SHORT LENS)
- 사용하는 필름의 대각선 길이보다 짧은 초점거리의 렌즈. 화각은 주어진 거리에서 눈으로 보는
각도보다 크다. 광각 혹은 광면렌즈라고도 한다.
닷징(DODGE)
- 인화 노광중에 인화의 특정부분을 가려서 밝게 하는 것.
따뜻한색
- 일반적인 물체 (불, 태양등) 와의 연상 작용에 의해 따듯한 인상을 주는 붉은 계통의 색.
동조(SYNCHRONIZE)
- 카메라 셔터가 열리는 동시에 플레시가 터질수 있도록 작동하게 한 것.
드라이다운(DRY DOWN)
- 대부분 인화지를 처리 한후에 건조 시키는 과정에서 생기는 현상.
약간 더 어두어 지고 콘트라스트가 약해진다.
드라이마운트(DRY MOUNT)
- 인화지와 마운트 표면 사이에 드라이 마운트 탄소종이를 한 장 끼워넣어 인화지를 두꺼운 종이에 붙이는 것. 이것을 탄소종이 속의 풀을 녹이기 위해 가영된 마운트 압축기에 넣는다.
드롭아우트 (DROPOUT)
- 중간색인 회색톤이 없이 희고 검은 부분만으로 이루어진 이미지, 일반적으로 하이 콘트라스트
리스 필름을 써서 만든다.
등급별 콘트라스트 인화지 (GRADED-CONTRAST PAPER)
- 한가지 등급의 콘트라스트를 내는 인화지. 콘트라스트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서는 다른 등급의 인화지를 써야 한다. 가변성 콘트라스트 인화지 참고.
DIN
- 필름의 감광도를 나타내는 숫자의 표시. 유럽에서 많이 쓰인다. DIN값은 감광도가 배가 될 때 3씩 증가한다.
- 3 -
디옵터 (DIOPTER)
- 광학적 용어로 렌즈의 능력을 말하는 것. 사진에 있어서는 주로 확대능력과 클로즈 업 보조렌즈의 초점거리를 지칭한다.
----- ㄹ -----
레인지파인더 (RANGEFINDER)
- 1)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를 나타내며 피사체에 초점이 맞았을 때를 정확히 보여주는 카메라의 한 장치.
- 2) 레인자파인더식 초점장치를 갖춘 카메라.
렌즈 (LENS)
- 하나 또는 여러개로 파사체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초점을 정확히 맞게 하는데 적합하도록 만든
광학유리.
렌즈 가리개 (LENS SHADE)
- 렌즈이 앞면에서 반사되어 플래어를 일으키는 불필요한 빛을 막기 위해 렌즈 주위에 끼우는 것. 렌즈 후드라고도 부름.
렌즈구경 (APERTURE)
- 빛이 통하도록 열린 렌즈의 크기. 상대구경은 렌즈의 초점거리를 그 구경의 반지름으로 나눈 것으 로 이것을 f숫자로 나타낸다. 예를 들면 f/8, f/11 등등.
조리개 우선식 (APERTURE-PRIORITY)
- 자동 노출의 한 방식. 촬영자가 렌즈구경을 선택하고 카메라가 자동으로 적정노출에 알맞은 셔터 속도를 결정한다.
롤 필름 (ROLL FILM)
- 필름 주위를 긴 종이로 감아 빛을 차단한 둘말이로 판매되는 필름. 낱장 필름이 아닌 두루말이로 포장된 모든 필름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.
리덕션 (REDUCTION)
- 1) 축소 2) 감력참고 3) 눈에 보이지 않는 잠상을 형성한 노광된 할로겐화은 결정체가 눈에
보이는 금속은으로 변화되는 현상의 한 부분.
리버셜 (REVERSAL)
- 노출된 필름에서 직접 네가티브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. 또 포지티브 슬라이드로 부터 만든
네가티브나 포지티브 이미지로부터 직접 네가티브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.
리버셜 필름 (REVERSAL FILM)
- 노출하고 현상하여 포지티브 이미지를(슬라이드)를 만드는 필름. 리스 필름 (LITH FILM)
- 본래는 그래픽과 인쇄 용도로 만들어진 필름의 한 종류. 매우 강한 콘트라스트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.
리프 셔터 (LEAF SHUTTER)
- 겹쳐지는 나뭇잎 모양의 금속 원주를 열고 닫음으로써 필름에 빛을 보내는 카메라 셔터의 한
종류.
릴 (REEL)
- 현상할 롤 필름을 감는 기구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잇으며 나선형의 홈을 가지고 있다.
----- ㅁ -----
망원렌즈 (TELEPHOTO LENS)
- 일반적으로 매우 긴 초점거리의 모든 렌즈를 말함. 특히 유효 초점거리가 사실상의 거리보다 길게
조립된 렌즈.
- 4 -
망원효과 (TELEPHOTO EFFECT)
- 아주 먼 거리에서 장초점 렌즈를 사용하여 생기는 원근감의 변화. 피사체는 원상태보다 훨씬
가까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.
망판 (HALFTON)
- 동일한 인쇄기로 다른 것들과 함게 재생될 수 있는 이미지. 사진의 회색 톤이 연속적인 톤처럼
보이는 점 모양으로 영사된다. 즉 어두운 부분은 점 사이가 가깝고 밝은 부분은 사이가 넓게 된다.
매크로렌즈 (MACRO LENS)
- 클로즈 업 사진을 찍기 위해 고안된 렌즈. 때때로 마이크로렌즈라고도 함.
매트 (MAT)
- 가운데 구멍을 뚫어 인화지 위에 놓아 틀을 만드는 직사각형의 두꺼운 종이 오버 매트라고도 함.
매트 나이프 (MAT KNIFE)
- 짧은 날의 칼이 여러 개가(보통 바꿔 낄 수 있는) 잡기 편리한 긴 손잡이에 들어있는 것으로
인화의 프레임을 만들 때 두꺼운 종이를 자르는 데 사용한다.
매트지 (MATTE)
- 상대적으로 흐릿하고 반사하지 않는 표면의 인화지를 말함.
명도 (VALUE)
- 어떤 부분의 상대적인 밝기 혹은 어두운 정도. 낮은 명도는 어두운 것이고 높은 명도는 밝은 것을 뜻한다.
명시도 (LUMINANCE)
- 측정한 방향에서 빛이 비치는 피사체에서 방출하거나 반사되는 빛. 반사광식 노출계로 측정.
모델링 조명 (MODELING LIGHT)
- 플래시에 장치된 작은 텅스텐 조명.
플래시의 지속시간이 너무 짧아 직접 그 효과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한다.
즉 촬영자가 다양하게 조명을 배치한 후에 이것을 이용하여 효과를 판단하게 된다.
무한대 (INFINITY)
- 렌즈의 거리눈금에서 가장 먼 위치(∞로 표시) 이것은 렌즈로부터 무한대 거리나 (약50피트)
그 보다 더 멀리 있는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. 무한대가 피사계 심도 안에 있을 때 그 거리나
그 보다 더 멀리 있는 모든 물체는 선명해진다.
밀착인화 (CONTACT PRINTING)
- 네가티브를 감광재료(일반적으로 인화지)와 밀착시켜 빛이 네가티브를 통해 유제 위에 닿게 하는 인화방법. 이 결과로 생긴 이미지는 네가티브와 똑같은 크기가 된다.
----- ㅂ -----
바늘구멍 (PINHOLE)
- 1) 현상중에 작은 기포가 생겨 현상액이 닿지 못했거나 현상 중에 생긴 먼지 때문에 필름에 생긴 작고 뚜렷한 점. 2) 불확실하지만 이미지를 알아 볼 수 있는 바늘 구멍 카메라의 작은 구멍.
바운스 라이트 (BOUNCE LIGHT)
- 광원으로부터 피사체로 직접 가지 않고 다른 물체에서 한번 반사된 광선.
반사광식 노출계 (REFLECTED LIGHT METER)
- 피사체로부터 방출되거나 반사된 빛의 양을 측정하는 노출계. 때로는 명시도 노출계라고도 함.
반사식 카메라 (REFLEX CAMERA)
- 초점유리 위에 사진이 찍히는 장면을 반사시키는 거울이 안에 장치되어 있는 카메라, 일안 반사식 카메라와 이안 반사식 카메라 참고.
- 5 -
반사판 (REFLECTOR)
- 1) 빛의 반사를 위해 특히 그림자 부분에 적절히 배치하는 흰색 판자같이 반사가능한 판.
플랫이라고 함. 2) 램프로부터 피사체에 좀더 많은 빛이 도달하게 하기 위해 램프뒤에 치하는
둥그런 모양의 반사면.
밝기 (BRIGHTNESS)
- 엄밀히 말해, 파사체의 밝기에 대한 주관적인 인상. 피사체에 의해 방출되거나 반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데 쓰이는 정확한 용어는 명시도이다. 명시도 참고.
백금인화 (PLATINUM PRINT)
- 은이 아닌 백금으로 마지막의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인화.
백색광 (WHITE LIGHT)
- 가시 스펙트럼의 모든 파장의 혼합. 눈으로 볼때는 무색이나 백색으로 보임.
백열광 (INCANDESCENT LIGHT)
- 물질이 전기에 의해 가열될 때 내는 빛. 예를 들면 보통 전구 속의 필라멘트.
버닝 (BURN IN)
- 인회의 한 부분을 어둡기 하기 위해 노광을 좀더 주는 것을 말함.
벌브 (BULB)
- B로 표시된 셔터로 셔터 릴리즈가 작동하는 동안 셔터가 계속 열린 채로 있다.
보력 (INTENSIFICATION)
- 이미 현상된 이미지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.
완전한 인화를 만들기 위해 너무 적은 은 농도를 가진 네가티브를 짙게 하는 데 쓰임.
보색 (COMPLEMENTARY COLORS)
- 1) 합하면 빛의 전 파장을 포함하게 되어 백색광을 만드는 빛의 두 가지 색 (가색법 참고)
2) 합하면 빛의 전파장을 흡수하여 검정색을 만드는 두 가지 염료의 색 (감색법 참고)
착색된 필터는 착색된 색의 보색광을 흡수하고 그 자신의 색을 가진 빛을 통과시킨다.
보조광 (FILL LIGHT)
- 주광에 의해 생긴 그림자를 밝게 하여 사진의 콘트라스트를 줄이는 광원이나 조명.
보조렌즈 (SUPPLEMENTARY LENS)
- 클로즈 업 촬영을 위해 카메라 렌즈에 첨부가능한 렌즈. 이 렌즈는 상을 확대하고 정상적인
거리보다 더 가까이에서 피사체의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한다.
보존용 처리 (ARCHIVAL-PROCESSING)
-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싱기는 빠른 변질로부터 인화나 네가티브를 가능한 보호하기 위해서 하는 처리.
보충액 (REPLENISHER)
- 현상액을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소모된 화학약품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한 몇가지 현상액에 첨가
하는 물질
내장 노출계 (BUILT-IN NETER)
- 카메라의 위치에서 직접 광도를 읽을 수 있도록 카메라 속에 내장된 반사식 노출계.
뷰잉 렌즈 (VIEWING LENS)
- 눈으로 피사체를 보는 카메라의 렌즈
뷰잉 스크린 (VIEWING SCREEN)
- 반사식이나 뷰 카메라에 이미지를 보고 초점을 맞추는 초점유리의 표면.
뷰 카메라 (VIEW CAMERA)
- 촬영렌즈가 초점 유리위에 직접 이미지를 맺는 카메라. 노출전에 필름 홀더를 초점유리 앞에 끼워 놓는다. 카메라의 전후부가 초점과 원근감을 조정하기 위해 다양한 각도로 조절된다.
- 6 -
뷰파인더 (VIEWFINDER)
- 피사체를 보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카메라 장치.
브랙케트 (BRACKET)
- 적정노출보다 어느 정도 높게 또는 낮게 하여 여러번 노출을 하는 것을 말함. 브랙키팅을 하면
잘못이 있을 경우 구제할 수 있고 현상 후에 가장 좋은 노출을 선택할 수도 있다.
블록 업 (BLOCKED UP)
- 노출과다나 현상과다된 네가티브의 너무 짙은 은입자 때문에 피사체의 질감과 디테일이 불분명
하게 되는 부분을 말함.
블리드 마운트 (BLEED MOUNT)
- 인화지의 가장자리와 마운트 표면의 가장자리 사이에 경계를 없애도록 인화지를 마운트에
붙이는 것.
비네트 (VIGNETTE)
- 이미지의 가장자리가 노출 부족 되는 것. 경우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대개는
우연히 이미지를 맺는 렌즈가 필름이나 인화지를 부분적으로 가려서 생긴다.
비은(非銀)인화 (NONSILVER PROCESS)
- 이미지를 형성할 때 은 감광재료에 의하지 않은 인화. 예를 들면 염화철의 혼합물로 된 감광
유제를 쓰는 시아노타입 처리.
비점수차(非點收差, (ASTIGMATISM)
- 비스듬히 입사한 광선의 초점을 정확한 곳에 맺지 못하는 렌즈의 결점으로 생긴 렌즈의 수차나
결점.
----- ㅅ -----
사바티에 효과 (SABATTIER EFFECT)
- 현상하는 동안에 필름이나 인화지에 빛이 노광될 때 생기는 톤의 부분적인 반전현상
사진용 일광등 (PHOTOFLOOD)
- 매우 밝은 빛을 내지만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의 백열등.
산(酸, ACID)
- pH7 미만의 물질. 산은 알칼리를 중화시키는 때문에 일반적으로 정지액은 알카리성 현상액의
활동을 중지시키는 산성용액이다.
산광식 확대기 (DIFFUSION ENLARGER)
- 균일하게 여러 각도에서 분산시킨 빛으로 네가티브를 노광하는 확대기.
산화 (OXIDATION)
-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화학약품의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.
삼각대 (TRIPOD)
- 세개의 다리를 가진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도구.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헤드도 조정할 수 있다.
상반칙불궤의 법칙 (RECIPROCITY LAW)
- 노출시간과 빛의 양 사이의 이론적인 연관관계. 한쪽을 늘리면 다른 한쪽은 감소함으로써 균형이 맞게 되는 법칙을 말함. 예를 들면 광량을 두배로 하면 노출시간을 정확히 반으로 줄여야만 평형 을 유지한다. 실제로 이 법칙은 시간이 아주 길거나 짧은 경우에는 평형을 유지한다. 이 법칙이 적 용되지 않는 위와 같은 경우에는 노출을 늘리지 않는 한 노출이 부족하게 된다. 그리고 색이 있는 피사체의 경우에는 색의 변호가 생기게 된다.
교환 렌즈 (INTERCHANGEABLE LENS)
- 렌즈를 카메라로부터 뗄 수 있어 다른 초점거리의 렌즈로 바꾸어 낄 수 있는 교환이 가능한 렌즈
- 7 -
색보정 필터 (COLOR-COMPENSATING FILTER)
- 칼라인화에서 색채균형을 보정하는 데 쓰이는 젤라틴 필터. 아세테이트 칼라인화 필터보다 값이 비싸며 확대기에 필터를 끼울 공간이 없을 때 확대기 렌즈 바로 아래에서 쓸 수 있다.
CC필터로 줄여서 쓴다.
색 수차 (CHROMATIC ABERRATION)
- 여러 색의 광선을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시킴으로써 동일한 면에 초점을 맺지 못하는 렌즈의 결점
색 온도 (COLOR TEMPERATURE)
- 광선의 색에 대한 숫자 표시. 이상적인 검은색의 복사체(그 물체에 닿는 빛을 전혀 반사하지 않는 물체)가 가열될 때 내는 빛의 색에 대한 켈빈도(k)의 온도.
색 온도계 (COLOR TEMPERATURE METER)
- 광원의 색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계. 일반적으로 광원의 색채균형과 칼라 필름 표준 타입의
색 온도를 맞추기 위해 필요한 필터를 결정하는 데 쓰인다.
색의 경향성 (COLOR CAST)
- 이미지의 모든 색 속에 있는 한가지 색의 가벼운 흔적.
색채균형 (COLOR BALANCE)
- 1) 피사체의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필름의 능력. 칼라필름은 특정한 광원의 사용을 위해 균형이 맞추어져 있다. 2) 인화작업 도중에 변경할 수 있는 칼라인화에 있어서의 색 재현.
선명도 (SHARP)
- 생생하고 정밀한 재질감과 디테일을 보여주는 이미지나 혹은 그러한 부분을 설명하는 표현.
선인화 (LINE PRINT)
- 흰 배경에 검은 선으로 된 (혹은 검은 배경에 흰 선으로 된) 펜화와 비슷한 인화.
하이 콘트라스트 리스 필름으로 만든다. 톤 라인 인화라고도 함.
세척촉진제 (WASHING AID)
- 필름이나 인화지의 정착과 세척 중간에 쓰이는 화학용액. 정착액의 잔재를 물에 잘 녹는 형태로 변화시켜 씻는 시간을 단축시킨다. 하이포 중화제 라고도 함.
셔터 (SHUTTER)
- 정해진 시간 동안 카메라에 빛을 들열 보내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기계장치.
셔터 우선식 (SHUTTER-PRIORITY)
- 자동노출의 한 방식으로, 촬영자가 셔터속도를 먼저 결정하면 카메라가 그 셔터 속도와 함께 적정 노출의 렌즈구경을 정한다.
쇼프트 (SOFT)
- 1) 흐릿하거나 초점이 맞지 않은 상태를 말함. 반대 : 선명함.
2) 콘트라스트가 낮은 상태를 말함. 반대 : 하이콘트라스트.
3) 0호나 1호와 같이 로우 콘트라스트의 인화지 유제를 말함.
솔라리제이션 (SOLARIZATION)
- 필름이 심하게 노출 과다 되었을 때 발생하는 톤의 반전현상.
쇼트 조명 (SHORT LIGHTING)
- 인물사진의 조명배치로 카메라를 외면한 얼굴 면에 부분적으로 주광이 비치도록 한 것.
내로우 조명이라고도 함.
수동노출 (MANUAL EXPOSURE0
- 촬영자가 렌즈구경과 셔터속도를 정하는 카메라 조작의 한 형식.
수렴 (COVERGENCE)
- 건물의 수직선과 같이 파사체의 평행선이 이미지에는 평행으로 나타나지 않는 현상.
- 8 -
수적(水滴) 방지제 (WETTING AGENT)
- 필름을 씻은 후에 쓰는 화학용액. 필름 위에 남아 있는 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 건조를 촉진
시키고 물방울을 방지한다.
수차(水差, ABERRATION)
- 렌즈에 의한 광학적인 결점으로 인해 선명하지 않거나 왜곡된 이미지를 맺게 되는 것. 비점수차. 색수차, 코마수차, 구면수차, 술통형의 왜곡, 상면만곡, 실패형 왜곡 참고.
수평이동(PAN)
- 카메라로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다라 가는 것. 이 결과로 물체는 선명하고 배경은 흐릿한
사진이 된다.
술통형의 왜곡 (BARREL DISTORTION)
- 직선이 이미지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휘게 하는 렌즈의 수차나 결점.
스테레오그래프 (STEREOGRAPH)
- 스트레오스코프를 통해 한 눈에 각각 한장씩 보여주는 나란히 찍은 두장의 사진. 결과적으로
이미지는 3차원으로 보이게 된다.
스톱 (STOP)
- 1) 한가지 렌즈구경으로 렌즈를 조정하는 조리개.
2) 두가지 요인에 의한 노출의 변화로 예를 들면 1스톱 높은 노출은 필름이나 인화지에 닿는 빛을 2배로 증가시키며, 또 1스톱 낮은 노출은 노출을 반으로 줄인다. 이런 경우 렌즈구경이나 노광 시간을 바꿔서 스톱을 변화시킬 수 있다.
3) 스톱다운 참고.
스톱다운 (STOP DOWN)
- 렌즈구경의 크기를 줄이는 것. 반대 : 오픈 업.
스포트 노출계 (SPOT METER)
- 피사체의 작은 한 부분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아주 작은 화각의 반사식 노출계.
스포트라이트 (SPOTLIGHT)
- 밝은 소형 램프, 반사판, 경우에 따라서는 빛을 한 곳에 모으는 렌즈로 구성된 전기적인 조명.
밝고 좁은 광선을 내도록 설계되어 있다.
스포팅 (SPOTING)
- 인화 위에 생긴 먼지나 작은 홈 등의 미세한 결점을 없애는 것. 특히 미세한 흰점 위에 물감을 칠 하는 것
슬라이드 (SLIDE)
- 1) 영사기 속에 넣어 볼 수 있도록 판자나 유리 혹은 그외 재료의 틀 속에 끼운 (대부분 칼라
포지티브) 투명한 필름.
2) 홀더 속에 있는 필름을 노광시킬 때 시트 필름 홀더로 부터 제거되는 보호용 커버.
다크 슬라이드라고도 함.
습판법 (WET-PLATE PROCESS)
- 유리나 금속판에 콜로디온 혼합물로 코팅한 다음 질산은으로 감광시키고, 콜로디온이 젖어 있는 동안에 노광하여 현상하는 방법. 이것은 1850년대부터 젤라틴 건판이 나온 1890년대 이전까지
유행했다.
상면만곡 (FIELD CURVATURE)
- 판판한 평면 대신에 구부러진 면 위에 이미지가 형성되는 렌즈나 수차나 결점.
시차 (PARALLAX)
- 눈으로 보는 렌즈와 필름을 노출하는 렌즈가 분리되어 있을 때 생기는 시점의 차이.
- 9 -
시트필름 (SHEET FILM)
- 낱개로 자른 필름. 커트 필름이라고도 함.
시험인화 (PROOF PRINT 혹은 TEST PRINT)
- 농도, 콘트라스트, 색채균형, 주제의 구성 등을 알아 보기 위하여 하는 시험적 인화.
실루엣 (SILHOUETTE)
- 피사체보다 배경이 훨씬 더밝게 조명된 사진이나 장면.
실패형 왜곡 (PINCUSHION DISTORTION)
- 직선이 이미지의 중심 안으로 휘게 되는 렌즈이 수차.
싱크 코드 (SYNCH CORD)
- 카메라의 플래시가 동시에 작동 될 수 있도록 카메라와 플래시를 연결하는 전기코드. ‘싱크’라고 읽는다. 동조참고.
----- O -----
ISO
- ASA와 비슷한 피름 감도
안전광 (SAFELIGHT)
- 암실에서 인화하는 동안 사용되는 불필요한 노광을 주지 않고 전체적인 조명을 주는 전등.
RC인화지 (RESIN-COATED PAPER)
- 코팅이 안된 인화지보다 습기를 덜 흡수하여 결과적으로 현상 시간을 다소 단축시키는 방수 코팅 된 인화지.
암브로타입 (AMBROTYPE)
- 유제가 유리 플레이트 위에 코팅되는 콜로디온 습판법. 여기에서 생긴 네가티브의 이미지는 유리 플래이트 뒤를 어두운 물질로 대면 포지티브 이미지처럼 보인다.
암실 (DARK ROOM)
- 불필요한 빛이 없는 상태에서 감광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충분히 어두운, 사진을 현상하고
인화하는 방
압지 (BLOTTERS)
- 사진을 만들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특수종이. 압지 사이에 젖은 인화지를 넣어 말린다.
어안렌즈 (FISHEYE LENS)
- 극도의 광각 시계 (180℃)와 상당한 술통형의 왜곡을 (피사체의 가장자리 직선이 이미지의
중심 부근에서 휘어 보이는 현상 )만드는 렌즈
얼룩
- 균일하지 못한 현상 때문에 인화지나 네가티브에 가루를 뿌린 것처럼 보이는 회색부분. 현상액
속에서 너무 짧게 처리되었거나 너무 적게 흔들었을 때 생긴다.
ASA
- 필름의감광도를 숫자로 표시한 값. 필름의 감도가 2배가 되면 ASA값이 2배가 된다.
에칭 (ETCHING)
- 인화나 네가티브에 생긴 작고 짙은 반점을 유제의 그 부분을 긁어내어 제거하는것.
f숫자
- 렌즈의 초점거리를 주어진 렌즈구경의 반경으로 나눈 수치. 이론적으로 같은 f치의 모든 렌즈는
같은 밟기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.
A타입의 필름
-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의 색온도가 대부분의 사진용 일광등과 같이 약 3400K 일때 정확한 색을 연출해 내도록 평형을 맞춘 칼라 필름. 텅스텐 필름 참고.
- 10 -
연속 톤 (CONTINUOS TONE)
- 검정색에서 부터 회색의 다양한 중간색을 포함하여 백색에 이르는 범위의 톤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말함.
오염 (CONTAMINATION)
- 화학약품이 닿지 않아야 할 곳에 생기는 약품의 흔적. 또는 화학약품의 활력감소에 의해 생기는 약품의 흔적이나 얼룩 등등.
오토크로마틱 (ORTHOCHROMATIC)
- 파랑색이나 초록색에는 감광되나 가시광선 영역의 빨강 파장에는 감광됮 않는 필름.
오파크 (OPAQUE)
- 1) 빛을 차단해 버리는 물질이나 표면. 2) 인화하는 동안 빛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네가티브의 한 부분을 막는 데 쓰이는 도료.
오픈 업 (OPEN UP)
- 렌즈구경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. 반대 : 스톱다운
왜곡 (DISTORTION)
- 1) 이미지의 가장자리 직선이 휘어져 보이게 하는 렌즈이 수차. 2) 렌즈가 피사체에 아주 가깝게 접근했을 때나(광각효과) 혹은 아주 멀리 떨어졌을 때 (망원효과) 일어나는 원근감의 효과
원근 (PERSPECTIVE)
- 이미지 안에 물체의 겉보기 크기와 길이
원-샷 현상액 (ONE-SHOT DEVELOPER)
- 한번에 쓰고 버리는 현상액
2색 헤드 (DICHROIC HEAD)
- 확대하는 빛의 색채균형을 변화시키기 위해 눈금이 매겨진 곳으로, 라이트 빔을 넣기도 하고
빼기도 할 수 있는 노랑, 마젠타, 시안 필터가 내장된 확대기 헤드.
이안 반사식 카메라 (TWIN-LENS REFLEX CAMERA)
- 아래 위로 두개의 렌즈를 설치한 카메라. 아래의 렌즈는 필름에 이미지를 맺게하고,
위의 렌즈는(보는) 초점유리 위에 이미지를 맺는다. TLR로 줄려 쓴다.
이젤 (EASEL)
- 인화적업 동안에 감광재료를(일반적으로 인화지) 판판하게 하고, 확대기 받침대 위에 정확하게
고정시키는 틀. 이미지를 다양한 크기로 만들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조정할 수 있는 자가
달려 있다.
인공광 (ARTIFICIAL LIGHT)
- 백열전등. 플래시 전구나 전자 플래시에 의한 빛. 때때로 어떤 장면을 조명하기 위해서 촬영자가 설정한 빛을 말하기도 한다.
인화 (PRINT)
- 1) 일반적으로 종이 위에 포지티브로 나타나는 사진 이미지. 2) 밀착이나 투영하여 네가티브로
부터 1)을 만들어 내는 작업.
인화용 프레임 (PRINTING FRAM)
- 밀착 인화시에 네가티브에 완전히 밀착시킨 감광체(보통 인화지)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틀.
일광용 필름 (DAYLIGHT FILM)
- 피사체를 비추는 광원이 정오의 태양이나 전자 플래시, 플래시 전구와 같이 대략 5500K의 색온도 를 가질 때 정확하게 색을 연출해 내도록 조정되어 있는 칼라 필름.
일안 반사식 카메라(SINGLE LENS REFLRX CAMERA)
- 렌즈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가 거울에 반사되어 초점 유리판위에 보이도록 만들어진 카메라.
노광 직전에 거울은 그 위치에서 올라가 빛이 필름에 도달하게 한다. SLR로 줄여서 쓴다.
- 11 -
임계 초점면(PLANE of CRITICAL FOCUS)
- 대부분 명확하게 초점이 맞은 피사체의 임의의 부분.
입사광식 노출계(INCIDENT LIGHT METER)
- 피사체에 입사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기구.
입자(GRAININESS)
- 확대된 이미지에서 네가티브의 은입자 덩어리로 인해 생기는 얼룩이나 반점.
----- ㅈ -----
자동노출(AUTOMATIC EXPOSURE)
- 카메라 작동의 구경을 각각 혹은 동시에 적정 노출이 되도록 조정한다.
잠상(LATENT IMAGE)
- 사진 유제속의 할로겐 화은 입자가 빛에 노출되어 변화되므로서 생긴 이미지.
이 이미지는 화학적으로 현상하기 전까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.
장초점 렌즈(LONG LENS)
- 사용하는 필름의 대각선 길이보다 긴 초점 거리의 렌즈. 장초점 거리의 시계는 육안으로 보는
시각보다 주어진 거리에 있어 훨신 좁다.
접사링(EXTENSION TUBES)
- 클로즈 업 촬영시에 카메라 몸체와 렌즈 사이에 부착할수 있는 금속링. 이것은 필름면에서부터
보통 거리보다 멀리 렌즈를 연장시켜 피사체에 정상거리보다 좀더 가까운 곳에서 초점을 맞출수 있게 해준다.
젤라틴(GELATIN)
- 동물의 피부나 뼈에서 추출되는 물질로 현대 사진의 기초가 된다. 이것은 현상제 속의 감광제인 할로겐화은 결정체를 보존하고 있다.
조도(ILLUMINANCE)
- 표면의 주어진 부분에 닿는 빛의 강도. 입사광식 노출계로 측정됨.
조리개(DIAPHRAGM)
-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통제하는 기계장치. 아이리스 조리개는 크게 혹은 작게 중앙의 구멍 크기를 조정할수 있는 겹쳐지는 금속의 날개들을 갖고있다.
조은 시스템(ZONE SYSTEM)
- 인화의 여러 부분의 톤을 정확히 조절하기 위해 네가티브의 노출과 현상을 계획하는 방법.
조은 포커스(ZONE FOCUS)
- 피사계 심도 안에서 일어나게 될 미래의 어떤 동작을 위해 렌즈의 초점을 미리 맞추어 놓는것.
주광(MAIN LIGHT)
- 사진의 주축이 되는 광원으로 가장 짙은 그림자를 지게하고 피사체의 질감과 양감을 뚜렷이 나타 낸다. 때때로 스튜디오 장치의 조립을 지칭하기도 한다. 키 라이트라고도 함.
주름상자(BELLOWS)
- 뷰 카메라에서 앞쪽의 렌즈판과 뒤의 뷰잉 스크린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아코디언처럼 접혀서 구부 리기 쉽고 빛이 차단되며, 소형 카메라에서는 렌즈를 필름에서 보통거리보다 멀리 놓아야할 경우 에 사용된다.
줌렌즈(ZOOM LENS)
-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렌즈.
중간 정지액(STOP BATH)
- 현상작용을 정지시키고 정착액의 효력을 유지하기 위해 현상액과 정착액 사이에 쓰이는 산성용액.
일반적으로 초산 희석액을 쓴다.
- 12 -
중간 톤(MID TONE)
- 아주 어두운 그림자도 아니고 또 아주 밝은 하이라이트도 아닌 중간 밝기의 부분. 인화에서는 중 간회색.
중간회색(MIDDLE GRAY)
- 18% 반사율의 평균 회색 톤. 노출은 이것을 표준으로 한다.
증감현상(增感現象)(PUSH)
- 필름을 제 감도보다 높은 감도로 노출하고 나서 정상보다 강한 현상으로 노출부족된 결과를
얼마간 보충하는 것. 이것을 이용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하고 빠른 셔터속도나 작은
렌즈구경을 쓸 수도 있다.
착란원(CIRCLE of CONFUSION)
- 렌즈가 피사체의 한 점을 투사할때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빛의 미세한 원. 이미지에서 모든
착란원의 반경이 작을수록 그 이미지의 선명도가 높아진다.
초점(FOCUS)
- 1)렌즈를 통한 광선이 선명한 상을 맺기위해 수렴되는 위치.
2)상을 가능한 한 선명하게 맺기위해 렌즈와 이미지 사이의 거리를 조정 하는것.
초점거리(FOCAL LENGTH)
- 렌즈가 무한대에 초점을 맞추엇을때 렌즈에서부터 초점면까지의 거리. 초점이 길어질수록 이미지 의 배율이 커진다.
초점면(FOCAL PLANE)
- 초점이 맞은 렌즈에 선명한 이미지가 맺히는 면이나 표면. 필름면 이라고도 함.
초점심도(DEPTH of FOCUS)
- 렌즈의 초점이 맞았을때 선명한 이미지를 맺을수 있는, 즉 오차가 생기지 않는 아주적은 범위.
초점막(FOCUSING CLOTH)
- 뷰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 데 쓰이는 어두운 색의 천. 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초점면 유리의
이미지가 좀더 잘보이게 하기위해 카메라의 뒷부분과 촬영하는 사람의 머리를 완전히 덮을수
있어야 한다 .
----- ㅋ -----
카메라 옵스큐라(CAMERA OBSCURA)
- 어두운 방 이라는 라틴어 작은 구멍을 낸 캄캄한 방으로 그 구멍을 통해 광선이 들어가 바깥
장면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. 이미지를 선명히 하기위해 그 구멍에 렌즈를 달게 되고 그 방은
작고 운반할수 있는 상자로 대치 되었다.
카셋트(CASSETTE)
- 35mm 필름을 자연광 아래서 카메라에 넣을 수 있도록 만든 빛이 차단된 금속이나 플라스틱 용기. 카트리지라고도 불림.
캐치라이트(CATCHLIGHT)
- 피사체의 눈 속에 생기는 광원의 반사.
콘트라스트(CONTRAST)
- 한 톤과 다른 톤 사이의, 농도나 어둠에 있어서의 차이.
크로마제닉 필름(CHROMAGENIC FILM)
- 최종 이미지가 은이 아닌 화학염료로 이루어 지는 필름.
- 13 -
크로핑(CROPPING)
- 보다 나은 구성을 위해 이미지의 가장자리를 잘라 버리는 것. 크로핑은 피사체를 보는 동안
카메라를 움직여서 시도할수 있고, 인화하는 동안 이젤이나 확대기를 조절하여 시도할수 있으며
완성된 인화의 가장자리를 잘라버림으로서도 가능하다
클로즈 업(CLOSE UP)
- 접사링이나 주름상자 혹은 보조렌즈를 이용하여 렌즈에서 정상적인 거리보다 더 가깝게 피사체의 초점을 맞춤으로서 네가티브에 형성되는 보통보다 더 큰 이미지.
----- ㅌ -----
타임(TIME)
- T라고 표시된 셔터로 촬영자가 사시 닫을때 까지 셔터가 열린 상태로 있게 된다.
태양동조(SYNCHRO SUN)
- 태양의 직사광선 아래서 찍는 사진에 플래시 조명을 보조광으로 쓰는 방법. 플래시가 그림자 부분 을 밝게하여 사진의 콘트라스트를 줄인다.
텅스텐 광(TUENGSTEN LIGHT)
- 전류가 통하면 백열광을 내는 가느다란 텅스텐 선이 들어 있는 전구에서 나오는 빛.
백열광 이라고도 함.
텅스텐 필름(TUNGSTEN FILM)
- 피사체를 비추는 광원의 색온도가 대부분의 텅스텐과 같은 약 3200K일 때 정확한 색을 연출 해 내도록 평형을 맞는 칼라 필름. 때때로 B타입 필름이라고도 한다. A타입 필름과 비교.
텐팅(TENTING)
- 반사가 심한 피사체를 조명하는 방법. 피사체를 넓은 종이나 투명 물질로 싸고 그 위를 조명하여 스튜디오 안의 램프나 카메라 그외의 다른것을 반사하지않고 촬영 되도록 하는것.
톤(TONE)
- 1)인화의 색을 변화 시키기 위해 인화를 화학 용액에 담그는 것.
2)특정한 부분의 밝고 어두움. 하이라이트는 밝은 톤이고 그림자는 어두운 톤이다.
투영인화(PROJECTING PRINTING)
- 네가티브의 이미지를 인화지 위에 투영하는 방법. 이미지는 어떠한 크기로도 투영될 수 있는데
보통은 네가티브보다 크게 투영된다.
트랜스 패어런시(TRANS PARENCY)
- 필름이나 유리와 같이 투명한 지지체에 생긴 이미지로 빛을 투과시킴으로서 보인다.
특성곡선(CHARACTERiISTC CURVE)
- 사진재료의 빛에 대한 반응을 나타낸 도표로서 현상하는 동안에 빛의 증가가 은 농도에 미치는
영향을 보여준다. 온 농도를 노출의 대수에 대응하여 도표을 만들었기 때문에 D log E 라고도
부른다
티오황산 나트륨(SODIUM THIOSULFATE)
- 일반적인 정착액 속의 활성성분.
틴 타입(TiINTYPE)
- 사진초창기의 콜로디온 습판법으로 유제가 짙은 색의 금속판 위에 코팅되어 있으며 포지티브
이미지를 갖는다.
----- ㅍ -----
파머의 감력제(FARMERS REDUCER)
- 현상된 이미지의 은의 양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티오황산 나트륨과 시안 제 2철의 용액
- 14 -
팬크로마틱(PANCHROMATIC)
- 가시광선의 영역의 거의 모든 파장에 민감한 필름. pan 이라고 줄여서 쓰기도 함.
편광필터(POLARIZING FILTER)
- 선택된 각도에서 진동하는 빛의 파동을 막아서 유리나 물과 같은 비금속 표면에서 생기는 반사를 줄이는 필터
평평함(FLAT)
- 피사체,혹은 사진에서 밝고 어두운 부분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말함.
포괄력(COVERING POWER)
- 렌즈가 인정될 만큼의 선명도와 균일하게 조명된 이미를 투사해 내는 초점면의 범위.
포그(FOG)
- 의도하지 않는 빛에 의한 노출이나 잘못된 화학작용에 의해 생기는 사진 이미지 전체에 걸쳐서
농도가 짙어지는 것.
포스트테리제이션(POSTERIZATION)
- 포스터와 같은 평면적인 형식의 이미지. 네가티브의 다양한 회색톤을 하이콘트라스트 리스필름을 이용하여 몇 개의 뚜렷한 회색톤으로 분리해 버린다.
포지티브(POSITIVE)
- 피사체의 톤과 동일한 톤의 이미지.
포컬플레인 셔터(FOCAL PLANE SHUTTER)
- 길고 좁은 틈을 움직이거나 필름면 바로 앞에 있는 로울러 막을 열어서 필름이 노출되도록 빛이 들어오게 하는 카메라의 기계장치.
포토그램(PHOTOGRAM)
- 필름과 인화지 위에 직접 물건을 놓고 그 위에 노광하여 만든 이미지.
포토매크로 그래프(PHOTOMACRO GRAPH)
- 피사체의 크기 그대로 혹은 그보다 큰 이미지를 만드는 클로즈 업 촬영. 매크로 사진이라고도 함.
포토몽타주(PHOTOMONTAGE)
- 몇 개의 사진을 오리고 합성하여 만든 구성 이미지.
표준렌즈(NORMALlLENS)
- 사용되는 필름의 대각선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의 초점거리를 가진 렌즈. 화각은 주어진 거리에 서 육안이 보는 시각과 거의 비슷하다.
풀 스케일(FULL SCALE)
- 짙고 깊은 검정에서부터 여러 증의 회색톤을 거쳐 완전한 순수 백색에 이르는 톤의 광범위한
범위를 포함하는 인화.
프레임(FRAME)
- 1)이미지의 가장자리.
2) 롤 필름에서 한 개의 이미지.
포로그램에 의한 자동송출(PROGRAMMED AUTOMATIC)
- 적정노출의 셔터속도와 렌즈구경을 카메라가 결정하는 자동노출의 방식.
프리소우크(PRESOAK)
- 필름을 현상액에 담그기 전에 물에 잠깐 담궈두는 것.
플래쉬(FLASH)
1) 순간적으로 밝은 빛을 터뜨려서 빛을 방출하는 플레쉬 전구나 스토로브와 같은 광원.
2)팬라이트나 풀래시 라이트에서 나오는것과 같은 백색광에 인화지를 노광함을 써 인화의 어떤 한 부분을 검게 만드는 것.
- 15 -
플래시 노출계(FLASH METER)
- 특별한 촬영 위치에 적당한 노출을 결정하기 위해 플래쉬 광의 밝기를 측정하는 노출계.
플래시 바 혹은 플래시 큐브(FLASH BAR 혹은 FLASH CUBE)
- 몇 개의 아주 작은 플래시 전구로 구성된 조명기구로 몇 번의 분리된 섬광을 낸 후에 완전 소모 된다.
플래시 전구(FLASHBULB)
- 속에 알미늄선 산소. 기폭장치가 다량 들어 있는 전구. 기폭장치가 전기적으로 작용하면 선에 발화 하게 되고 그 선들이 순간적이고 밝은 섬광을 방출하게 된다. 플래시 전구는 1회용이다.
플래어(FLARE)
- 렌즈나 카메라 안에서 분산되거나 반사되는 불필요한 빛. 이 빛이 필름에 닿으면 이미지의
콘트라스트가 약해진다.
플러드라이트(FLOODLIGHT)
- 넓고 상대적으로 확산된 광속을 내도록 설계된 전기적인 조명.
플레이트(PLATE)
- 초창기 사진기 처리에 쓰인 유제를 바른 금속이나 유리판.
피사계 심도(DEPTH of FIELD)
- 초점을 맞추었을 때 카메라에서 선명한 가장 가까운 곳과 가장 먼 곳 사이의 거리.
필름(FILM)
- 사진의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해 카메라에 쓰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유연한 아세테이트나
플래스틱 지지체에 감광유제가 코팅되어 있다.
필름감도(FILM SPEED)
- 필름의 빛에 대한 상대적인 감광도. 이것은 몇가지 평가방법이 있다. ISO/ASA 미국과 영국에서
가장 보편적으로 사용), DIN(유럽에서 보편적) 등등. 필름의 감광도가 증가 함에 따라 필름감도의 등급도 증가한다.
필름홀더(FILM HOLDER)
- 뷰 카메라에 쓰이는 낱장의 필름을 끼우는 빛이 차단된 기기.
필터(FILTER)
- 1) 유리, 플래스틱이나 다른 물질에 착색된 조각으로서 그것을 통과하는 어떤 특정한 빛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한다.
2) 감광재료에 도달하는 빛의 파장을 변화시키는 데 이와 같은 필터를 쓴다.
----- ㅎ-----
하드(HARD)
- 1) 피사체나 네가티브 혹은 인화의 강한 콘트라스트를 설명하는 표현.
2) 5호나 6호와 같이 콘트라스트가 강한 유제의 인화지를 말함.
하이라이트(HIGHLIGHT)
- 피사체, 인화 혹은 슬라이드의 아주밝은 부분. 필름에서 매우 농도가짙고 어두운 부분.
높은 명암도라고 함.
하이포(HYPO)
- 모든 정착액의 일반적인 이름 티오황산 나트륨(대부분의 정착액에서 가장 활성적인 성분) 이전의 이름인 소디움 하이포설파이트를 줄여서 만든 것임.
할로겐화은(SILVER HALIDE)
- 일반적인 사진유제의 빛에 민감한 부분. 염화은, 취화은, 옥화은 등의 화합물.
- 16 -
핫슈(HOT SHOE)
- 플레시를 부착할수 있도록 카메라 꼭대기에 설치한 장치로 카메라 셔터와 플레시 점화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전기적 연결을 하는 기능을 가진다.
헬리오그래피(HELIOGRAPHY)
- 빛에 노출되면 굳어지는 물질인 유대의 역청(bitumen of judea)으로 도장한 백납을 쓰는 초기사진 처리 방법으로 니엡스가 발명하였다.
화각(ANGLE of VIEW)
- 렌즈나 뷰파인더에 의해 덮히거나 노출계가 감지한 한 장면의 총량.
확산(DIFFUSE)
- 분산되어 같은 방향으로부터 오지 않는 빛. 예를 들면 흐린날의 광선.
회색카트(GRAY CARD)
- 비율이 정해져 있어, 그 비율 만큼의 빛을 반사하는 카드. 회색 부분은 18%를 반사하고 흰 부분은 빛의 90%를 반사한다. 정확한 노출계의 수치를 얻기 위해서 (노출계는 18% 반사의 회색 톤을 노출 의 기준으로 한다) 또는 칼라 작업에서 알고있는 회색 톤을 내는 데에도 사용한다.
후방초점(REAR NODAL POINTS)
- 렌즈의 초점거리(렌즈에서 이미지면까지의 거리)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렌즈 속의 점.
본궤도에서 벗어나지 않는 광선은 렌즈 축과 각 렌즈의 후방 초점을 교차하게 된다.
희박((THIN)
- 은입자가 바교적 침전하지 않은 네가티브나 네가티브의 한 부분을 가르키는 말.
이러한 네가티브는 많은 양의 빛을 통과시킨다.
'사진이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렌즈는 어떻게 선택을 해야 (0) | 2011.01.21 |
---|---|
[스크랩] 촬영에 유용한 Filter (0) | 2011.01.21 |
[스크랩] 렌즈선택의 CHECK POINT (0) | 2011.01.21 |
[스크랩] 완성된사진 관리요령 (0) | 2011.01.21 |
여러사진을 한장으로 만드는 방법 (0) | 2011.01.16 |